본문 바로가기
영화

한국판 리틀포레스트

by 척척박사23-1 2023. 8. 13.
반응형

1. 일본판과의 차별성

한국판 리틀포레스트는 2018년에 개봉하였습니다. 임순례 감독과 김탤, 류준열, 문소리, 진기주 배우등이 참여했습니다. 직접 키운 오리를 도축하는 장면이 나오는 일본판에 비해 고기가 들어간 음식이 거의 나오지 않는데 이는 채식주의자인 임순례감독의 영향이 있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또한 원작인 만화 리틀포레스트의 원작자 이가라시 다이스케가 한국판 영화화를 하며 내걸었던 조건중 ‘일식이 포함될 것’이 있어서 오코노미야키, 밤조림이 등장했다고 합니다.

일본판에서 주인공 이치코가 사는 집은 시골마을 외딴곳에 있는 주택이었지만 한국판에서는 근처에 고모집이 있고, 진돗개를 마당에 키우는 등 치안에 대한 관객의 불안을 덜어주기 위한 장치들이 마련되었습니다. 주인공의 엄마가 딸을 두고 떠나는 시점도 달라졌습니다. 일본판에서는 이치코가 아직 학생일 때 엄마가 떠나가는 반면 한국판에서는 주인공 혜원의 수능이 끝난 뒤로 미뤄졌습니다.

등장하는 요리들 역시 달라졌는데, 작물을 심고, 기르고, 수확하고, 다듬고, 요리하는 전 과정이 강조되는 일본판에 비해 한국판에서는 파종에서 수확까지의 내용이 많은 부분 생략되어 있어 농사의 비중이 적어졌습니다. 또한 일본판에서는 코모리의 부지런한 이웃들에 대한 존경심이 엿보이는 대목이 많았으나 한국판에서는 친구와 친척 외의 이웃에 대한 설명은 그다지 등장하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판의 이치코는 고향을 떠날 때도, 다시 고향으로 돌아올 때도 그 이유가 명확하게 나오지 않았으나 한국판에서는 대학진학, 임용시험 실패라는 보다 명쾌한 사유가 설명됩니다. 엄마가 집을 떠난 이유도 일본판에서는 알 수 없지만 한국판에서는 엄마의 편지를 통해 ‘아빠와 결혼으로 포기했던 일들을 시도해 보고 싶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화가 끝날 때까지 다시 등장하지 않는 일본판의 엄마와는 다르게 한국판에서는 직접적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엄마가 돌아왔다는 시그널을 주며 영화가 마무리됩니다.

2. 혜원과 친구들, 그리고 엄마

김태리 배우가 맡은 송혜원 역할은 남자친구와 함께 임용시험을 준비하다 혼자만 실패한 후 고향으로 잠수 타듯 내려오게 됩니다. 곧 다시 올라가겠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면서도 착실하게 흘러가는 시간 속에 혜원은 계절에 알맞은 음식을 해 먹고, 농사일을 돕고, 친구들과 어울리고, 엄마와의 추억을 회상하며 도시에서 홀로 허기졌던 마음을 채워나갑니다.

류준열 배우가 맡은 재하역할은 혜원의 초등학교 동창으로, 지방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서울에서 취직까지 했으나 직장생활에 회의감을 느껴 고향으로 돌아와 농사꾼이 되기로 결심합니다. 과수원을 운영하며 농사짓는 삶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혜원이 고향으로 돌아오자 혼자 무섭지 말라며 진돗개 오구를 선물해 주기도 하는 등 혜원의 시골생활에 큰 위안과 도움이 되는 인물입니다.

진기주 배우의 주은숙 역할은 혜원의 가장 친한 친구로 등장합니다. 고향에서 대학을 나온 후 농협에 취직해 고향을 떠난 적이 없습니다. 재하를 좋아하고 고향을 떠나고 싶어 하지만 막상 실제로 고향을 떠날 계획은 없어 보입니다.

시골생활을 하며 혜원은 친구인 재하, 은숙과 함께 어울리며 상처를 회복해 나갑니다. 함께 요리를 해 먹거나, 물놀이를 가기도 하고 서로를 돕기도 합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자기 자신이 무엇으로부터 도망쳐온 것인지에 대한 고민 역시 하게 됩니다.

혜원의 엄마역할은 문소리 배우가 맡았습니다. 남편이 아프자 요양을 위해 남편과 혜원을 데리고 남편의 고향으로 내려왔습니다. 남편 사후에도 그곳에 계속남아 혜원과 시간을 보내다가 혜원의 수능이 끝난 뒤 자신의 꿈을 찾아 홀연히 사라집니다. 혜원과의 직접적인 교류는 없지만 고향집에 머물고 있는 혜원에게 편지를 하는 등, 어디선가 혜원을 지켜보고 있는 것 같은 신호를 줍니다.

3. 등장하는 요리와 결말


영화에서 보여주는 요리로는 배춧국, 배추 전, 수제비, 꽃 파스타, 아카시아 꽃 튀김, 쑥갓 튀김, 오이콩국수, 달걀샌드위치, 김치전과 두부 전, 막걸리, 떡볶이, 무지개 시루떡, 양배추빈대떡, 감자빵, 크렘브륄레, 밤조림, 곶감, 양파 통구이 등이 등장합니다.

다양한 요리들이 등장하고, 각 요리에 얽힌 엄마와의 추억도 소개됩니다.

혜원은 임용고시 실패 후 도망쳐 온 자기 자신을 돌아보며 이대로 도망친 채 살 수만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통장잔고도 점점 바닥을 보이고 있습니다. 결국 혜원은 1년의 농촌생활을 마치고 다시 서울로 향하게 됩니다. 이후 혜원은 다시 귀향을 하여  집을 고치는 등 아주심기 준비에 돌입하고, 잠시 외출 다녀온 사이 집 문이 열려있고 오구가 짖고 있는 등 엄마가 돌아왔다는 듯 한 장면으로 영화가 끝납니다.

다만 혜원이 다시 서울로 간 뒤 어떤 준비들을 했는지, 돌아온 고향에서는 어떤 일을 할 계획인지 등은 나오지 않고 있어 풀리지 않는 궁금증으로 남아있습니다.

반응형